“매달 10만 원씩 3년만 모으면 정부가 1,080만 원을 더 얹어준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이거 진짜 되는 건가요? 네, 됩니다. 그리고 아직 늦지 않았어요.
2025년에도 청년들을 위한 대표 자산형성 지원제도인 청년내일저축계좌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최대 1,44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만큼, 자격이 된다면 반드시 신청해보는 게 좋아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정 소득 이하의 청년이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3배까지 매칭해서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제도예요.
쉽게 말해, "내가 3년 동안 36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1,080만 원을 추가 지원해서 총 1,440만 원을 만들어주는" 제도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야말로, 청년들을 위한 ‘미래 준비 통장’이죠.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은요?
신청 조건은 아래와 같아요. 생각보다 까다롭진 않지만, 몇 가지 체크할 부분은 있어요.
- 나이 요건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단,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만 15세 이상도 가능해요) - 소득 요건
월 소득이 220만 원 이하(2024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해요.
※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신청 가능해요. - 가구 소득/재산 요건
본인이 속한 가구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해요.-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기준: 대도시 3억 5천만 원, 중소도시 2억,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추가 조건
- 3년간 매달 꾸준히 10만 원 이상 저축해야 하고요.
- 연 1회 이상 근로·사업 활동 확인을 받아야 해요.
- 자립역량 교육 10시간도 필수예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
- 신청 기간
매년 상반기 중에 신청을 받아요. 보통 6월~7월 사이에 공고가 뜨니까 미리 확인해두면 좋아요. - 신청 방법
① 복지로 홈페이지(https://www.bokjiro.go.kr)에 접속해요
②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요
③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메뉴에서 서류 입력 후 제출하면 끝! - 필요 서류
- 본인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확인자료 등
(홈페이지에서 자동 연동되는 경우도 있어요)
신청 후에는 심사를 거쳐 대상자 선정이 이뤄지고, 통장을 만들고 첫 저축을 시작하게 돼요.
어떤 혜택이 있나요? 최대 1,440만 원까지 가능해요
일반 청년 | 월 10만 원 | 월 30만 원 | 1,440만 원 (3년 후) |
차상위 이하 | 월 10만 원 | 월 10만 원 | 720만 원 (3년 후) |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만이 아니라, 저축 습관 + 재무 교육 + 정부 매칭이라는 3박자를 갖춘 제도라서, 청년들이 처음으로 돈을 모아보기에 딱이에요.
신청 전에 꼭 알아두면 좋은 팁!
- 중간에 해지하면 지원금 못 받아요!
중도 해지 시에는 본인이 저축한 금액만 돌려받게 돼요. 지원금은 사라지니까 3년은 꼭 유지해야 해요. - 정부 지원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돼요.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정부 매칭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 소득 수준을 미리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 청년희망적금이랑 헷갈리지 마세요!
비슷한 이름이 많아서 헷갈릴 수 있는데,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복지부 소관, 소득 기준이 더 낮아요.
내일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예요
지금은 비록 작게 시작하더라도, 3년 후에는 꽤 큰 금액으로 돌아오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만 된다면 무조건 신청하는 게 유리해요.
정부가 주는 기회를 놓치지 말고, 내 미래를 위한 첫 걸음을 지금 시작해보세요.